정보의 모든 것

관세란? 기본관세, 상호관세 어떻게 다를까? 본문

카테고리 없음

관세란? 기본관세, 상호관세 어떻게 다를까?

스벅까눌레 2025. 4. 13. 18:59
반응형

 

 

1. 기본관세란? – 일반적인 수입물품에 적용되는 세율

기본관세는 수입물품에 대해 원칙적으로 부과되는 관세율로, 세계무역기구(WTO)의 최혜국대우 원칙에 따라 적용됩니다.

  • 법적 근거: 관세법 제68조 제1항
  • 적용 대상: 대부분의 통상적 수입물품
  • 특징: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고정 세율로 적용

한국은 WTO 회원국이며, 기본관세율은 관세청에서 고시하는 「품목분류표(HS 코드) 및 세율표」에 따라 적용됩니다.

화물선에 컨테이너가 실려있는 모습

2. 상호관세란? – 통상 마찰 대응용 특별관세

상호관세란 타국이 한국산 제품에 부당한 차별 또는 고율의 관세를 부과할 경우, 이에 대응하기 위해 그 국가의 수입품에 추가로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입니다.

  • 법적 근거: 관세법 제68조 제3항 (상호주의 원칙에 의한 대응 관세)
  • 주요 목적: 국내 산업 보호 및 통상 협상력 확보
  • 적용 방식: 외교적 판단 및 무역보복 수준에 따라 차등 부과
📌 예시: 특정 국가가 한국산 철강에 25% 고율관세를 부과하면, 한국도 해당국가의 철강 또는 주요 수출품에 대응 관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기본관세와 상호관세의 차이점 비교

두 제도는 모두 ‘관세’라는 점에서 같지만, 부과 목적과 시기, 법적 요건에서 분명한 차이가 있습니다.

구분 기본관세 상호관세
적용 목적 통상적인 수입세 부과 상대국 차별 조치 대응
법적 근거 관세법 제68조 제1항 관세법 제68조 제3항
적용 시점 WTO 기준에 따라 일률 적용 대외정책 판단에 따라 선택적 적용
적용 대상 모든 수입물품 특정 국가의 특정 품목

4. 관련 법령 및 적용 주체 (관세법 제68조 등)

두 관세 모두 관세법에 명시된 국가 권한이며, 최종 적용 여부는 기획재정부 장관 및 관세청장이 주관합니다.

📖 관세법 제68조 요약

  • 제1항: 기본세율을 기준으로 부과
  • 제3항: 상대국 차별에 대응하는 '상호세율' 규정

이 외에도 WTO 협정, FTA 협정세율과 연동되기도 하므로, 특정 품목이나 국가에 따라 실제 세율은 다를 수 있습니다.

 

 

관세란? 기본관세·상호관세 적용 사례와 경제적 영향

5. 기본관세 적용 예시: 소비재, 산업재 수입 시대부분의 수입품에는 기본관세가 적용됩니다. 이는 수입 시점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며, 다음과 같은 품목이 대표적입니다.소비재: 의류, 가방, 전

finance.mkhou.com

 

 

 

반응형